2024년 가을엔?🍁
2023년 가을, 숲과나눔과 사랑의열매는 <초록열매 성과확산 프로젝트>을 시작했습니다.2024년 가을, <초록열매 성과확산 프로젝트> 시즌2를 시작합니다. 시즌1의 성과를 발전시켜 지자체 단위의 종이팩 자원순환 모델을 구축하고, 정책제안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또한 방치·소각되어 농촌 지역의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영농폐기물을 중심으로 농촌형 자원순환 모델 구축에 도전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
|
|
인재의 숲 ECOSEE 프로그램 현장
새, 물속생물, 식물을 한 곳에서 다 볼 수있는 현장에 연구자&장학생이 탐사활동을 진행했어요! 🦗 |
7번째 풀씨아카데미 첫 여정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웠던 여름이 지나가고, 시원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다가왔습니다. 가을바람이 불 때면 시작하는 ‘풀씨아카데미’가 벌써 일곱 번째 기수를 맞이하였습니다. |
|
|
인류세와 다종적 생존🦆
이번 공개포럼에서는 강원도 철원의 두루미 사례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의 역동성을 살펴보고, 칠레 소금 사막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대해 논의했어요.
|
더 다양하고 더 참신한 열매들🍐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 프로젝트 <초록열매>가 3기를 맞았습니다. 더 다양하고 참신한 단체들이 함께합니다 |
|
|
풀터뷰🍃재미난 풀씨활동들
9월에 마무리하는 풀씨11기! 다들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 풀터뷰를 통해서 만나보세요. |
직접 찾아간 국제풀터뷰, 우간다 편
우간다의 키엔조조 지역과 캄팔라 대도시 지역의 환경교육은 얼마나 창의적인지 소개합니다! 이번에도 숲과나눔 손휘주연구원이 직접 찾아간 우간다편 재밌게 봐주세요! |
|
|
큰돈의 선한 영향력
“요즘 많은 분야에서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안전·보건·환경 분야에서만이라도 시민사회의 에너지와 동력을 만드는 게 목표예요.” |
|
|
환경소송 언제부터 시작됐나
환경아카이브 풀숲에서는 환경소송의 첫 시작도 찾아볼 수 있어요. 다양한 키워드로 환경에세이도 써보는 도전 어떠실까요?!
|
용담댐 수몰 이주를 기억하는 일
사라진 마을 사진으로 재발굴해서 보존한 김지연 작가의 책과 전시입니다. #용담위로나는새 는 전형무 선생의 사진기록을 김지연의 자료 발굴과 정리로 볼 수 있는 풍경이라는 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