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LETTER. 2023.11.30. 62호 |
|
|
이 달의 숲과나눔 헤드라인🌳
✔ 종이팩, 상대를 알고 나를 알아야 백전백승!
|
|
|
기후불안을 허심탄회하게 터놓을 수 있는 곳,
'환경학술포럼'🎓
기후변화에 대해서 다들 어떤 감정을 느끼시나요? 대한민국 참여자 98퍼센트가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과 위협을 걱정하고 있지만, "기후변화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않는다" 라는 응답이 40%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다른 10개국의 조사와 비교해 보면, 가장 높은 수치인데요. 사실 숲과나눔 환경학술포럼은 기후위기를 걱정만 하지 말고, 모여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나누며 대안을 모색해 보기 위한 장으로 마련되었습니다. 같은 주제로 고민하던 감정을 공유하며, 고민지점을 터놓고 말할 수 있는 곳이 환경학술포럼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다 같이 준비했습니다. |
|
|
6개월간의 대장정의 막이 내린 카카오뱅크 에코실험실! 울릉도 스티로폼 순환시스템 구축/선거쓰레기/공익감사청구/유엔기구에서의 발표/경진대회 수상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개의 에코실험을 통해 청년들의 환경문제를 향한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톡톡 튀고 실용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시간이었어요. |
종이팩? 우유팩? 멸균팩?
종이팩, 우유팩, 일반팩에 살균팩, 멸균팩... 차이가 뭐고 어떤 것이 맞는 용어인지 아시나요? 전국에서 종이팩 자원순환 좀 한다는 6개의 팀이 모였고(우리는 이들을 수행단이라 부릅니다) 드디어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가 시작되었습니다. |
|
|
숲과나눔 5기 장학생 우수작 서평
숲과나눔 장학생들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 장학생 우수 도서 서평을 소개합니다. 이번에는 어떤 책을 읽고, 어떤 서평을 작성했는지 읽어볼수 있답니다. |
커먼즈, 그 가능성과 현실사이
200여 분 동안 연속으로 진행된 포럼은 진지하고도 유쾌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져, 결코 짧지 않은 시간임에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열띠게 진행되었다다고 하네요! |
|
|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 정책포럼 #3
종이팩 재활용률 14%, 어떻게 높일 것인가
🔹신청기간 : 11.30 - 12.20(수)까지
🔹일시: 2023.12.21(목) 15:00-17:00
🔹장소: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
🔹대상: 종이팩 재활용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
|
|
이끼를 들어올려라! 자연예술가 '임동식'
자연미술이 지평을 넓혀 온 임동식 작가의 작업세계를 볼수 있는 전시라고 하네요. 예술의 영역을 일상으로 확장하며 '일상 속 예술'의 아름다운 경지를 에파진에서 확인해보세요. |
|
|
|